외국인들이 한국에서 집을 구하는 방법


1. 일반적인 거주 유형


  1. 원룸 (One-room)

    • 작은 크기의 단독 주거 공간, 주로 대학생이나 독신자에게 적합.
    • 월세나 전세(보증금 기반) 형태로 거래.
    • 보통 가구와 기본 가전제품(냉장고, 세탁기 등)이 제공됨.
  2. 오피스텔 (Officetel)

    • 주거와 업무가 가능한 공간으로, 원룸보다 넓음.
    • 신축 건물이 많고, 보안과 편의시설(엘리베이터, 주차장 등)이 잘 갖춰짐.
  3. 기숙사 (Dormitory)

    • 대학생들이 주로 이용.
    • 저렴하며, 학교와 가까움.
    • 입사 시 일정한 규칙을 준수해야 함.
  4. 쉐어하우스 (Share-house)

    • 여러 명이 공용 공간(부엌, 거실)을 함께 사용하는 집.
    •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며, 외국인들에게 인기 많음.
  5. 아파트 (Apartment)

    • 가족 단위로 거주하기 적합.
    • 면적이 넓고 시설이 좋지만, 임대료와 보증금이 높을 수 있음.


2. 외국인들이 집을 구할 때 고려해야 할 점


  1. 비자 상태 확인:

    • 장기 체류 비자가 있을 경우, 집을 계약하기 쉬움.
  2. 보증금과 월세:

    • 한국은 전세(큰 보증금을 내고 월세 없이 거주)와 월세(소액 보증금 + 매달 월세)가 일반적.
  3. 중개 수수료:

    • 부동산을 이용할 경우, 계약 시 수수료(월세나 전세 금액의 일정 비율)를 지불해야 함.
  4. 집 관리비:

    • 임대료 외에 수도, 전기, 가스, 인터넷 등의 관리비가 별도로 청구됨.
  5. 계약서 작성:

    • 한국어 계약서가 많아 신뢰할 수 있는 번역 도움 필요.
    • 반드시 계약 조건과 중개인의 면허 여부를 확인.


3. 외국인을 위한 주거 검색 사이트


  1. Zigbang (직방)

    • URL: https://www.zigbang.com
    • 주요 기능: 매물 검색, 월세 및 전세 조건 필터, 실제 집 사진 확인 가능.
  2. Dabang (다방)

    • URL: https://www.dabangapp.com
    • 주요 기능: 다양한 매물 제공, 지도 기반 검색.
  3. Goshiwon (고시원) 정보 사이트

    • URL: https://goshipages.com
    • 주요 기능: 저렴한 소규모 주거지 정보, 외국인 대상 고시텔 추천.
  4. Craigslist Korea

    • URL: https://seoul.craigslist.org
    • 주요 기능: 외국인을 위한 쉐어하우스 및 방 렌트 정보.
  5. Airbnb

    • URL: https://www.airbnb.co.kr
    • 주요 기능: 단기 및 중기 거주 공간 제공, 외국인 친화적.
  6. Korea Roommate (한국 룸메이트)

    • URL: https://www.korea-roommate.com
    • 주요 기능: 쉐어하우스 및 룸메이트 정보, 외국인 대상 서비스.
  7. WeWork Stay (코워킹과 주거 겸용 공간)

    • URL: https://www.wework.com
    • 주요 기능: 업무와 주거를 병행할 수 있는 공간 제공.


4. 외국인 주거 지원 서비스


  1. 외국인 지원센터

    • 외국인을 위한 거주지 소개, 계약 상담 제공.
    • 지역별 지원 센터 운영 (예: 서울글로벌센터).
  2. 한국 공인 중개사

    • 외국어 가능한 중개사를 활용하여 계약 시 언어 문제 해결.